저탄소 철강기술 국제심포지엄(COOLIT2025) 개최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최신 기술과 글로벌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대한금속재료학회 철강분과위원회가 주최하고, 포항공과대학교 친환경소재대학원 수소환원철강연구소가 주관하는 "COOLIT 2025"를 개최하고자 합니다.이번 행사는 국내외 철강업계와 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해 약 20여 개의 초청강연과 현대제철 인천공장 플랜트 투어가 진행될 예정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일정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아 래 - ㅇ 행 사 명 :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2-Lean Ironmaking & Steelmaking Technology (COOLIT) 2025 : Road to Green Smelting/Meltingㅇ 일 시 : 2025.8.24(일) ~ 27(수)ㅇ 장 소 : (24~26일) 포스코센터 , (27일) 현대제철 인천공장ㅇ 참 석 자 : 국내외 철강산업 산학연 전문가 ㅇ 구 성 : 1일차 기조강연/주제발표(8개) 및 Banquet, 2일차 주제발표(11개), 3일차 공장투어 - (해외) 12개 초청강연, (국내) 7개 초청강연 구성 ㅇ 주요내용 : 그린스틸 생산을 위한 전략, 철강공정 저탄소 기술개발 현황, 수소환원제철기술 개발 현황 (유동로, 샤프트로, ESF 등) *상세내용은 아래의 프로그램 참고ㅇ 참가신청 : 홈페이지 사전등록(http://coolit.or.kr/sub3_2.php) 후 현장결제 (참가비 : 일반 400,000KRW / 학생 200,000KRW)ㅇ 문 의 처 :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연구개발실 이예린 책임연구원 (yerin.lee@komera.or.kr / 02-555-6642) 포항공과대학교 (coolit-2025@postech.ac.kr) ㅇ 기타사항 : COOLIT2025 홈페이지 참조(http://coolit.or.kr/)
2024년도 금속재료 GVC 컨퍼런스 개최
국내 소부장 공급망 자립화에 기여중인 금속재료 R&D과제의 성과홍보 및 수요업계와의 로드맵 공유·네트워킹을 통한 공급망 내재화를 위해 산업부가 주최하고 산업기술기획평가원 및 본 연구조합에서 주관하는 "2024년도 금속재료 GVC 컨퍼런스"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금번 컨퍼런스에서는 기조강연 2건을 포함하여,두 가지 기술세션(구조/기능성 금속재료, 고성능 금속재료)으로 다양한 수요기업 및 철강·금속기업의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아 래 - ㅇ 일시 : 2024. 9. 10 (화) 12:00~17:00 ㅇ 장소 : 서울 LW컨벤션센터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64 3층)ㅇ 주제 : ① 구조/기능성 금속재료(6개 강연), ② 고성능 금속재료(6개 강연) ㅇ 등록 (https://2thgvc.imweb.me/) 사전 등록 (마감) - ~2024년 9월 4일(수)까지현장 등록 - 2024년 9월 10일 12시~ 문의처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기획관리팀 (02-555-6642~3) - 양원철 선임연구원 (wonchul188@komera.or.kr)기타 - 별도 참석 비용 없음 (무료) - 선착순 250명 제한ㅇ 프로그램 일정 [1부: 개회 및 기조강연] 크리스탈홀[2부: 금속재료 산업 협력단 지원과제 벨류체인 구축성과 발표] [세션 I. 구조/기능성 금속재료] 크리스탈홀 [세션 II. 고성능 금속재료 세션] 그랜드볼룸홀 ㅇ 오시는 길 (서울 LW컨벤션 센터) ▶ 서울역 이용시 : 서부역 롯데마트 방향 800M 직진 후 한국경제신문사 맞은편 ▶ 지하철 이용시 : 2, 5호선 충정로역 4번 출구 (도보5분) ▶ 출구방향으로 70M 직진 후 횡단보도 건너편 브라운스톤서울 3층 : 1, 4호선 서울역 서부역 출구 (도보10분) 서부역방향으로 나오신 후 한국경제신문사 방향 이동 후 맞은편 ▶ KTX(서울역) : 서울역 공항철도 3번출구 (롯데마트 후문)
제 1회 금속재료 GVC 컨퍼런스
ㅇ 일시 : 2023. 7. 18 (화) 13:00~18:00ㅇ 장소 :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 E홀ㅇ 주제 : ① 미래 수송기기, ② 조선 및 수소저장, ③ 신재생에너지 ㅇ 등록 (https://gvc2023.com/register/) 사전 등록 기간 - 2023년 7월 11일까지사전 등록 방법 - 홈페이지 접속 후, 정보 입력 및 사전등록 진행 (접수 홈페이지 URL : https://gvc2023.com/register/) 현장 등록 기간 - 2023년 7월 18일 12시 30분 ~ 문의처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기획관리팀 (02-555-6642~3) - 최종희 책임연구원 (cjh1106@komera.or.kr) - 양원철 선임연구원 (wonchul188@komera.or.kr)기타 - 별도 참석 비용 없음 (무료) - 선착순 300명 제한 ㅇ 프로그램 일정 시간주요 내용12:30~13:00등록13:00~13:10개회13:10~13:40인사말 및 축사13:40~14:00Break Time개별 트랙주제발표미래 수송기기 세션발표조선 및 수소저장 세션발표신재생에너지 세션 발표14:00~14:30 저탄소 철강시대에 맞춘 Tata 그룹의 미래 솔루션해상운송 화석 연료에 대한 시장 분석ADNOC Net Zero Plan for EnergyTata Consultancy DeloitteADNOC GAS14:30~15:00현대모비스 탄소중립 추진전략극저온용 고망간강 소재의 개발 및 적용 현황화학,정유 Plant 클래드 자재의 사용사례 및 주요 요구조건현대모비스한화오션삼성엔지니어링15:00~15:30전기자동차용 Aluminum 기술개발 및 시장 기체 수소 운송/저장 기술 현황 수소밸류체인상 주요 플랜트의 재료 및 손상 대응 방안 알멕에테르씨티대우건설15:30~15:50Break Time 15:50~16:20탄소중립 기여 친환경 선재 제품 개발 현황LNG 및 액화수소 저장탱크용 고Mn강미래 산업 기술개발의 New paradigm: Value Chain 통합포스코포스코세아창원특수강16:20~16:50전기차 대외 환경 변화에 따른 차체 소재 적용 동향저탄소 사회전환에 따른 친환경에너지 대응 조선용 강재 개발 동향에너지 플랜트 소재용 Clad 후판 국산화 기술개발현대제철현대제철동국제강16:50~17:20모빌리티용 소재 및 제조공정 기술개발 에너지 플랜트용 CRA Pipe 제조 기술개발세아창원특수강 세아제강17:20~17:30Break Time 17:30~18:00폐회
저탄소 철강기술 국제 심포지엄 「COOLIT2023」
<「COOLIT2023」 Symposium>ㅇ 행사명 :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2 Lean Ironmaking Technology (COOLIT) 2023 : Road to Green steel *주관 : 포스텍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주최 : 대한금속재료학회 철강분과위원회 *후원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포스코, 현대제철ㅇ 일시/장소 : 2023.6.25(일) ~ 28(수) *(25일~27일) 경주 힐튼 호텔(B1 Cherry room), (28일) Plant tour (포항공대 가속기연구소, 포스코 포항공장)ㅇ 참석대상 : 국내외 철강산업 관련 산학연 전문가ㅇ 구성 : 0일차 Welcome function, 1일차 주제발표 및 Banquet, 2일차 주제발표, 3일차 Plant tourㅇ 내용 : CO2 lean Ironmaking 기술, 수소환원철 용융환원, 철강업 탈탄소시기의 광석 수급 전략 (총 20개 강연 구성) - 철강사 : [해외] NSC(일본), JFE(일본), Kobe steel(일본), Baowu steel(중국) [국내] 포스코, 현대제철 - 원료 회사 : BHP, RioTinto - 대학 : 카네기 멜론 대학(미국), 뉴캐슬 대학(호주), 울롱공 대학(호주), 북경과기대(중국), 중남대(중국), 동북대(일본), 반둥공대(인니), 연세대, 한양대, 포항공대ㅇ 등록비 : (Regular) 200,000원, (Student) 100,000원 - Registration Link : http://coolit.dsso.kr/sub3_2.php *All participants of COOLIT2023 except invited speakers are required to register in advance. **The registration fee for participants should be paid on-site.
2021 소부장뿌리기술대전 참석 및 세미나 발표
2021 소부장뿌리기술대전 참석 및 세미나 발표 < 행사 개요 >□“K-소부장! 제조업 혁신의 시작”을 슬로건으로 2021년 개최 * 소부장⋅뿌리산업의 우수기술과 정책적 노력을 통해 제조업 발전을 견인하는 내용ㅇ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 킨텍스ㅇ (개막식) 주제영상, 개회 및 축사, 유공자 포상, 세레모니ㅇ (전시) 3개관(소부장관, 뿌리관, 테마관)으로 구성하여 200여개 기업/기관 전시ㅇ (상담관 및 설명회) 기술상담 및 비즈니스 상담, R&D지원사업설명회, 해외 구매정책 설명회, 기업지원 서비스설명회 등 진행 □ (일정·장소) ‘21. 10. 13(수) ~‘21. 10. 15(금) / KINTEX 4홀 ㅇ 행사 주요내용구 분내 용일 시➊ 개막식 및 시상식(산업부 차관님 참석)∘행사 개회 선포 및 행사주제 세레모니∘소재부품-뿌리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10.13(수) 14:20➋ 소부장·뿌리기업전시관(180개 기업 내외)ㆍ소재부품장비관(150개 기업 전시)10.13(수)~10.15(금)ㆍ뿌리관(30개 기업 전시)➌ 소부장·뿌리 테마관(25개 기업/기관)∘소부장 융합혁신관∘뿌리산업 정보관∘소부장 특화단지관∘소재부품장비-뿌리산업 유공자관 ➍ 기술 및 비즈니스상담관[기술상담]∘현장애로기술 및 정부R&D상담관(KEIT)[비즈니스 상담]∘해외수출 상담관(KOTRA)∘국내투자 상담관(KITIA)∘기업지원 상담관(KIAT, 특화단지관) ➎ 설명회 및 세미나[설명회] ∘소부장 신규사업(R&D/비R&D) 설명회(KEIT,KIAT,KITECH)10.13(수) 10:00∘해외구매정책 설명회(KOTRA)10.14(목)∘기업지원서비스 설명회(KIAT)10.15(금)[세미나] ∘소재부품 디지털 혁신방안(KIAT)10.13(수)∘K-소부장, 기술자립을 넘어 제조업 혁신 선도(KEIT)10.14(목) 14:00∘차세대 뿌리기술 개발전략 및 발전방안(KITECH)10.15(금) < 세미나 개요 > ㅇ (개요) 소부장 R&D 지원 성과 공유 및 향후 발전 방향 모색ㅇ (제목) “K-소부장, 기술자립을 넘어 제조업 혁신 선도”ㅇ (일시/장소) ‘21.10.14.(목) 오후 2시 ~ 4시/ KINTEX 제1전시관 4홀ㅇ (주요 내용) 일본 수출 규제, 코로나 19, 국제 무역 분쟁 등 위기 대응을 넘어 제조업 혁신을 선도하기 위한 지난 2년간의 K-소부장 R&D 지원 성과* 공유 및 향후 발전 방향 모색 * 사례유형 ➊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 ➋ 애로기술 지원 중심의 산·학 협력 ➌ 공공연구기관과의 소부장 R&D 협력 ㅇ 발표내용 및 연사 소속기관 발표내용 연사 소속기관”K-소부장 R&D 지원 성과 및 발전 방향“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김장엽 단장주요사례 ①”수요-공급기업 협력을 통한 소부장 제조업 혁신“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김영주 상무(소부장산업 협력단) 주요사례 ②”산·학 협력을 통한 소부장 제조업 혁신“전북대학교 강길선 교수(소부장 혁신Lab) 주요사례 ③”공공연구기관-소부장 기업의 R&D 협력과 제조업 혁신“ 한국자동차연구원 위신환 본부장(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